미국주식뿐만 아니라 주식을 시작하면 필수불가결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약어/용어 정리입니다.
용어 관련 내용은 이 포스트에 차곡차곡 정리하여 공부할 예정입니다.
▶ 배당
Dividend Yield
시가배당률. 전날 마감된 장 기준으로 현재 배당금 지급에 대한 정보
Annualized Payout
연간 기준, 1주 당 지급하는 배당금.
Payout Ratio
배당성향. 기업이 주주에게 환원하는 배당금에 대한 수치이다. 일반적으로 적정 배당성향은 20~65% 내외이나, 배당 가능 이익의 90% 이상을 의무적으로 배당금으로 지급해야 하는 특징이 있는 리츠 업종의 경우에는 배당성향이 100% 이상 넘어가기도 한다. 이런 경우에는 현금 흐름을 볼 수 있는 FFO(Funds From Operations)와 AFFO(Adjusted Funds From Operations)를 참고한다.
Payout Ratio = 100× (주당 배당금 DPS / 주당 순이익 ESP) OR 100× (총배당금 / 순이익)
Dividend Growth
배당 성장. 연간 기준 배당금을 몇 년 동안 증가시켜 왔는지에 대한 지표이다. 미국 배당주 투자 시 중요하게 보게 되는 지표이다. 배당 성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배당 삭감이나 배당 컷 없이 꾸준하게 성장한 기업으로, 우수한 경영 능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.
Stick Split
주식분할. 시가 총액의 변화 없이 기존 주식을 세분화하는 것이다. 일정한 비율로 액면가를 나눠 주식 수를 증식시키는 것을 액면 분할이라고도 한다. 만약 1주 당 $2000가 넘는 주식을 주식 분할하여 1주 당 $500가 될 경우 유통 주식 수가 늘어나고 주당 가격이 낮아져 접근성이 높아져 거래가 더욱 활발해진다.
Ex-Dividend Date
배당락일. 미국 기준으로 배당락일 전까지 주식을 매수하여야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. 회사 보유 현금을 주주들에게 나누어 주기 때문에 배당락일에는 배당금만큼 주가가 떨어진다는 의미이다. 이론적으로는 배당락일 기업의 주가는 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. 하지만 하락 출발하지만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.
Record Date
배당 기준일. 이 날에는 주주명부에 이름이 등재되어 있어야 배당금이 지급된다.
Pay Date
배당 지급일. 미국 기준으로 주주 계좌에 배당금이 입금되는 날이다. 우리나라는 1~2일 정도 후에 입금된다.
'FIRE 01. 투자 > 10.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0의 법칙) 좋은 주식 / 신생 기술주 초기에 찾는 방법 (0) | 2020.06.23 |
---|---|
한영 숫자환산, 원/달러 환율 대략 계산 (0) | 2020.06.23 |
섹터(업종)별 대표 ETF 보유종목 TOP3, 운용자산, 운용보수 정리 (0) | 2020.06.22 |
S&P500 섹터별(업종별) 10년간 퍼포먼스 비교 (0) | 2020.06.21 |
미국 주식하면서 마주치는 주식 약어/용어 정리: 재무 (1) | 2020.06.21 |